티스토리 뷰

의대에 입학한 학생이 완연한 의사가 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그 시간만큼 거쳐야 하는 수련과정도 많이 있는데요, 오늘은 언뜻 들으면 비슷하지만 그 의미는 전혀 다른 의대 관련 용어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의사의 수련과정

 

▶ 예과생/본과 1학년 /본과 2학년 : 병원에서 수련받을 일이 거의 없다.

 

 본과 3학년 / 본과 4학년 : PK(폴리클리닉)이라 불리는 임상실습을 받습니다. 

 

 인턴 : 대학졸업과 동시에 의사면허 취득 후, 일반의로서 전공과목이 정해지지 않은 채로 돌아가며 병원 수련을 합니다. 기간은 1년입니다. 수련의라고도 부릅니다. 


 레지던트 : R1/R2/R3/R4 등으로 연차에 따라 나뉘며, 특정 전공과목을 정한 채로 병원 수련을 받습니다. 기간은 보통 3~4년이며, 끝나면 전문의 자격을 취득합니다. 바로 이 과정에 있는 의사를 전공의 라고 합니다.

 


 전임의, 임상강사(펠로우) : 전문의 면허 취득 후 1~2년 정도 그 과에서 세부적인 분과를 정해서 병원 실습을 받게 됩니다. 


 임상전임강사, 임상조교수(스탭, 촉탁의) : 임상강사(펠로우) 과정을 마쳤으며, 대학교원이 아닌 신분으로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의사를 말합니다. 임상강사와 교원 사이에 있는 중간과정으로 간주됩니다. 계약직이며, 정규직 조교수보다는 낮은 지위에 있습니다.

 

 조교수/부교수/정교수 : 이들은 의과 대학 정규직 교수의 일원으로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의사입니다.

 

 

 전공의 전임의 차이

전공이 정해지지않은 일반의로서 인턴 1년의 과정을 거친 후, 전공과목을 정해 다시 수련을 받는 레지던트들을 전공의라고 합니다.

 

 

3~4년의 전공의 과정을 거치고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면 전문의가 됩니다. 보통 전문의가 되면 페이닥터로 병원에 취업하거나 본인의 병원을 개업하게 됩니다. 그러니 동네에 있는 피부과, 소아과 같은 병원들은 전공의 과정을 거친 전문의가 개업한 병원이라고 보면 됩니다. 

 

 

전문의가 된 후에도 세부 전공을 정해 더 수련을 하게 되면 펠로우(임상강사) 즉, 전임의가 됩니다. 즉 전임의가 전공의 보다 더 세부적으로 전공 수련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내과라 전공의가 있는 반면에, 거기서 한 단계 더 들어가서, 소화기 내과, 심장내과, 호흡기 내과, 신장 내과 등 여러 세부 전공으로 나뉘게 되며 이 세부 전공을 수련하는 의사가 바로 전임의가 되겠습니다. 

 

댓글